생명에 대한 외경
-
Ⅳ. 인간의 충만함을 위한 정치와 경제의 대화[189-198항]생명에 대한 외경/찬미받으소서 2024. 7. 7. 23:59
Ⅳ. 인간의 충만함을 위한 정치와 경제의 대화189. 정치가 경제에 종속되어도 안 되며 경제가 효율 중심의 기술 지배 패러다임에 종속되어서도 안 됩니다. 공동선을 고려할 때 오늘날 정치와 경제는 반드시 서로 대화를 나누며 삶, 특히 인간의 삶에 봉사해야만 합니다. 제도 전체의 검토와 개혁을 위한 확고한 결의 없이,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은행을 구제하고 그 부담을 국민에게 전가하는 것은 금융의 절대적 지배를 재확인하는 것일 뿐입니다. 이러한 지배에서는 미래가 없고, 장기간에 걸쳐 많은 비용을 치른 피상적인 회복 이후 결국 새로운 위기가 닥칠 뿐입니다. 2007-2008년의 금융 위기는 윤리 원칙을 더 잘 존중하는 새로운 경제의 발전과 더불어 투기 금융 관행과 가상의 부에 대한 새로운 규제를 수립할 기회였습..
-
Ⅲ. 정책 결정 과정의 대화와 투명성[182-188항]생명에 대한 외경/찬미받으소서 2024. 7. 6. 23:59
Ⅲ. 정책 결정 과정의 대화와 투명성182. 기업 활동과 사업의 환경 영향 평가는 투명한 정치적 과정을 필요로 합니다. 여기에는 대화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특혜를 통하여 특정 계획의 실제적 환경 영향을 은폐하는 부패는 흔히 정보 제공의 의무와 충분한 논의가 결여된 모호한 합의를 이끌어 냅니다.183. 환경 영향 평가는 생산 계획, 어떤 정책이나 계획, 또는 프로그램의 수립 이후에 이루어져서는 안 됩니다. 환경 영향 평가는 처음부터 이루어져야 하며 학제적 방식으로 투명하며 모든 경제적 정치적 압력에서 벗어나 시행되어야 합니다. 이 평가는 반드시 노동 조건과 인간의 육체와 정신 건강, 그리고 지역 경제와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과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사람들은 발생 가능한 일들과 예기..
-
Ⅲ. 정책 결정 과정의 대화와 투명성[182-188항]생명에 대한 외경/찬미받으소서 2024. 7. 5. 23:59
Ⅱ. 새로운 국가적 지역적 정책을 위한 대화176. 국가들 사이뿐만 아니라 가난한 나라의 내부에도 승자와 패자가 존재하기에, 그 가난한 나라들 안에서 차등적 책임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환경과 경제 발전과 관련된 문제들이 더 이상 국가 간 차이의 관점에서만 접근해서는 안 되며, 국가적 지역적 정책에 대한 주의를 필요로 합니다.177. 인간의 능력이 무책임하게 오용될 가능성에 당면하여, 개별 국가는 자기 영토 안에서 수행하는 계획, 조정, 감시, 제재의 기능을 더 이상 외면할 수 없습니다. 한 사회가 끊임없이 과학 기술적 혁신을 도모하면서, 어떤 방식으로 그 미래를 계획하고 보호할 수 있겠습니까? 감시와 조정의 기능을 담당하는 요소에는 법률이 있으며, 이는 공동선에 비추어 허용되는 행위 규정을 마련합..
-
Ⅰ. 환경에 관한 국제 정치 안에서의 대화[164-175항]생명에 대한 외경/찬미받으소서 2024. 7. 4. 23:59
I. 환경에 관한 국제적 정치 안에서의 대화164. 지난 세기 중반 이후 많은 어려움들을 극복하며 우리의 지구가 고향이며 인류는 공동의 집에 사는 한 민족이라고 의식하는 경향이 점차 나타났습니다. 세계가 서로에게 의존한다는 사실은, 우리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생활 양식, 생산과 소비 방식의 부정적 결과를 우리가 깨닫게 할 뿐 아니라, 해결책들을 단지 일부 국가들의 이익 보호만이 아니라 세계적 관점에서 제안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호 의존은 우리에게 공동 계획을 가진 하나의 세상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합니다. 그러나 엄청난 기술 발전에 사용된 그 지성은 심각한 환경과 사회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국제적 운영 방식들을 찾아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개별 국가만의 조치로는 해결..
-
제5장 접근법과 행동 방식[163항]생명에 대한 외경/찬미받으소서 2024. 7. 3. 23:59
제5장 접근법과 행동 방식163. 저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난 흠집만이 아니라 인간이 초래한 심각한 환경 훼손의 원인들을 살펴보면서, 인류의 현재 상황을 분석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러한 현실 자체만을 보아도 이미 방향 전환과 다른 조치의 필요성이 드러나지만, 우리가 점점 빠져들고 있는 자멸의 소용돌이에서 벗어나도록 해 주는 주요한 대화의 길들을 이제 그려 나가 봅시다. [내용출처 - https://www.cbck.or.kr/Notice/20210427?gb=K1200 ]
-
제4장 통합 생태론[137-162항] 주석생명에 대한 외경/찬미받으소서 2024. 7. 2. 23:59
제4장 통합 생태론[137-162항] 주석 114). 국제 연합, ‘환경과 개발에 관한 리우 선언’(Rio Declarat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1992.6.14., 제4원칙.115). 「복음의 기쁨」, 237항.116). 「진리 안의 사랑」, 51항.117). 몇몇 저자들은 이를테면 라틴 아메리카의 판자촌(villas, chabolas, favelas) 같은 곳에서 자주 발견되는 가치를 강조하여 왔다. 후안 카를로스 스칸노네(Juan Carlos Scannone, S.J.), ‘가난한 이들의 등장과 무상성의 논리’ (La irrupcion del pobre y la logica de la gratuidad), 후안 카를로스 스칸노네-마르셀루 페리네(Marcel..
-
Ⅴ. 세대 간 정의[159-162항]생명에 대한 외경/찬미받으소서 2024. 7. 1. 23:59
Ⅴ. 세대 간 정의159. 공동선의 개념은 또한 미래 세대도 관련됩니다. 세계 경제 위기는 우리 후손들도 예외일 수 없는 공동 운명을 무시하는 악영향을 신랄하게 보여 주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세대 간 연대 없이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더 이상 논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미래 세대에게 물려줄 지구를 생각하면, 우리가 거저 받은 선물을 전달하는 것에 관한 새로운 논리에 접어들게 됩니다. 세상이 우리에게 선사된 것이라면 우리는 더 이상 개인적 유익을 위한 효율과 생산성이라는 공리주의적 원칙으로만 생각할 수 없습니다. 세대 간 연대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정의의 근본적인 문제입니다. 우리가 받은 지구는 우리 후손들에게도 속하기 때문입니다. 포르투갈 주교들은 우리가 이러한 정의의 의무를 받아들일 것을 요청하였습니..
-
Ⅳ. 공동선의 원리[156-158항]생명에 대한 외경/찬미받으소서 2024. 6. 30. 23:59
Ⅳ. 공동선의 원리156. 통합 생태론은 사회 윤리에서 핵심적이고 통일적인 원리인 공동선의 개념과 분리될 수 없습니다. 공동선은 “집단이든 구성원 개인이든 자기완성을 더욱 충만하고 더욱 용이하게 추구하도록 하는 사회생활의 조건의 총화”122입니다.157. 공동선은, 자신의 통합 발전을 위한 근본적인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부여받은 인간의 존중을 전제로 합니다. 이는 보조성의 원리를 적용하면서, 사회 보장과 복지 제도, 그리고 여러 중간 집단의 발전도 필요로 합니다. 그 가운데 두드러진 집단은 사회의 기초 세포인 가정입니다. 끝으로, 공동선은 사회 평화, 곧 확고한 질서의 안정과 보장을 요구합니다. 이는 특히 분배 정의를 존중하지 않으면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분배 정의가 침해당하면 언제나 폭력이 발생합니..